[가스기사] 가스용 PE관 이것저것
◈ 로케이터
지하에 매설된 PE배관을 탐지하기 위해 배관을 따라 금속선 등을 설치하여 탐지가 가능하도록 한 장치
◈ PE관을 지상에 노출할 수 있는 경우
지상배관과의 연결을 위해 금속관을 사용하여 보호조치를 한 경우로서 지면에 30cm 이하로 시공한 경우
◈ 온도 40ºC 이상인 곳에 설치 가능한 경우
파이프 슬리브를 이용하여 단열조치한 경우
◈ 융착이음시 열선이탈과 그 원인
열선이탈이란, 이음관 내부에 감겨진 열선이 융착 후 예정된 위치에 있지 않은것
(소켓융착에서 주로 생기는 것으로 추정)
원인은 과도한 가열시간 및 온도설정 등의 적절치 않은 융착절차
◈ PE관 융착 ( 맞대기 / 소켓 / 새들 )
접합 전 접합부를 전용 스크레이프로 다듬질
- 맞대기 융착이음
공칭외경 90mm이상
융착기는 제조일을 기준으로 1년이 되는날 전후 30일 이내에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성능확인을 받아야함 (21년 3회 동영상문제)
비드폭 계산식
Bmin = 3 + 0.5t
Bmax = 5 + 0.75t
- 소켓 융착이음
기준
용융된 비드는 접합부 전면에 고르게 형성되고 관 내부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할것
배관 및 이음관의 접합은 일직선 유지
비드 높이는 이음관의 높이 이하일 것
융착작업은 홀더 등을 사용하고 관의 용융부위는 소켓 내부 경계턱까지 완전히 삽입되도록 할 것
- 새들 융착이음
◈ SDR
SDR = 배관외경 / 최소배관두께
클수록 배관이 얇음 - 사용압력이 작아진다.
SDR11 이하 | 0.4MPa 이하 |
SDR17 이하 | 0.25MPa 이하 |
SDR21 이하 | 0.2MPa 이하 |
◈ 금속관과의 접합은 T/F 사용
T/F : Transitio Fitting 이형질이음관
◈ 접합하는 두 배관의 공칭외경이 다른 경우
관이음매(Fitting) 사용
◈ PE밸브
사용압력 : 0.4MPa 이하 (저압)
사용온도 : -0.29ºC 이상 38ºC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