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전기)] 건축구조물
◈ 건물의 주요구조부
- 내력벽
- 기둥
- 바닥
- 보
- 지붕틀
◈ 내화구조 기준
주요 구조부 | 내화구조 기준 |
벽 |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로 두께가 10cm 이상 골구를 철골조로 하고 그 양면을 두께 4cm 이상의 철망 몰타르 또는 두께 5cm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 벽돌 또는 석재로 덮은 것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 블록조, 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 블록 등의 두께가 5cm 이상인 것 벽돌조로서 두께가 19cm 이상인 것 |
기둥 (작은지름 25cm 이상) |
철근 콘크리트조 또는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 철골을 두께 6cm 이상의 철망 몰타르 또는 두께 7cm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 벽돌 또는 석재로 덮은 것 철골을 두께 5cm 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
바닥 | 철근 콘크리트조 또는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cm 이상인 것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 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두께가 5cm 이상 |
비내력벽X
◈ 방화구조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 철망몰타르로서 그 바름 두께가 2cm 이상인 것
- 석고판 위에 시멘트몰타르 또는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cm 이상인 것
- 시멘트몰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cm 이상인 것
-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
- 방화 2급 이상에 해당하는 것
◈ 방화벽의 설치기준
-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
-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위쪽 끝을 건축물의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부터 0.5m 이상 튀어나오게 할 것
-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m 이하로 하고, 당해 출입문에는 갑종 방화문을 설치할 것
- 갑종 방화문은 항상 닫힌 상태 또는 자동폐쇄구조
◈ 무창층의 개구부 요건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른 개구부 기준
- 크기가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을 것
-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 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내일 것
- 도로 또는 차량의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 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 또는 그 밖의 장애물이 설지되지 아니할 것
-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이 가능할 것
◈ 방화문
구조
- 방화문은 직접 손으로 열 수 있을 것
- 방화문은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일 것(자동폐쇄장치)
종류
- 갑종 방화문 : 비차열 60분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것
- 을종 방화문 : 비차열 30분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것
◈ 방화구획
구분 | 구획 단위 | 구획 부분의 구조 |
면적별 구획 | - 10층 이하의 층 1,000m2 이내마다 구획 (자동식소화설비 설치 : 3,000m2 이내마다 구획) - 11층 이상의 층 200m2 이내마다 구획 (자동식소화설비 설치 : 600m2 이내마다 구획) - 11층 이상의 층(불연재료 사용) 바닥면적 500m2 이내마다 구획 (자동식소화설비 설치 : 1,500m2 이내마다 구획) |
- 내화 구조의 바닥, 벽 - 갑종 방화문 - 자동 방화셔터 |
층별 구획 | - 3층 이상의 모든 층은 층마다 구획 - 지하층은 층마다 구획 |
|
용도별 구획 | - 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하는 대상 부분과 기타 부분 사이의 구획 |
◈ 피난로의 안전구획
제1차 안전구획 | → | 제2차 안전구획 | → | 제3차 안전구획 |
복도 | 계단부속실 | 피난계단(현관,로비) |
◈ 화재시 인간의 본능
- 귀소본능
화재시 인간은 피난을 위하여 자신이 들어온 길 또는 평상시 사용하던 통로(복도, 계단)로 탈출하려는 경향
- 추종본능
화재시 인간은 군중 중 한 사람의 지도자가 나타나면 그 지도자를 따라 행동하려는 경향
- 지광본능
화재시 인간은 주위가 어두워지면 밝은 곳으로 피난하려는 현상
- 퇴피본능
인간은 화재를 감지하면 반사적으로 화재지역으로부터 멀리 피난하려는 현상
- 좌회본능
인간은 대부분 오른손이나 오른발을 사용하여 발달하였으므로 회전할 경우엔 주로 오른손이나 오른발을 이용하여 왼쪽으로 회전하려는 경향
◈ 연돌효과(굴뚝효과)
건물 내외의 온도차
화재실 온도
건물의 높이
외부의 풍압
밀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