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전기)] 연소 관련
◈ 화재의 분류
종류 | 등급 | 색표시 | 소화방법 | ||
국내 | NFPA | ISO | |||
일반 | A | A | A | 백색 | 냉각 |
유류 | B | B | B | 황색 | 질식 |
가스 | C | ||||
전기 | C | C | - | 청색 | 질식 |
금속 | D | D | D | - | 피복 |
식용유 | K | K | F |
◈ 연소현상
- 플래쉬 오버 현상
화재시 발생한 가연성가스가 건물 내 상층부에 체류하다가 연소범위 내 농도가 되면 착화하여 화염으로 쌓이고 연소범위 내 농도가 되면 착화하여 화염으로 쌓이고 상층부의 열이 축적되어 축적된 열이 실내에 복사열로 방출되어 실내가 화염으로 덮이는 현상
발생시기 : 성장기
주요 발생 원인 : 열의 공급
- 백드래프트 현상
화재시 가연성 가스가 축적되어 있다가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면 폭발적 연소와 함께 폭풍을 동반하며 화염이 외부로 분출되는 현상
발생시기 : 감쇠기
주요 발생 원인 : 산소의 공급
방지대책 : 적절한 배연, 환기, 폭발력의 억제, 격리
◈ 연소점, 인화점, 발화점
- 연소점 : 가연물이 연소를 계속할 수 있는 최저온도
- 인화점 : 가연물을 가열시 점화원의 존재하에 점화가 되는 최저온도
- 발화점 : 가연물을 가열시 점화원이 없어도 연소가 시작되는 최저온도
◈ 폭발, 폭굉, 폭연
- 폭발 Explosion
밀폐된 용기내부에서 갑자기 압력상승으로 인하여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
- 화학적 폭발
분해폭발 : 아세틸렌, 디아조화합물
중합폭발 : 시안화수소, 염화비닐, 초산비닐, 산화에틸렌(분해, 중합)
산화폭발
가스폭발
증기운폭발
유증기폭발
- 물리적 폭발
(수)증기폭발 : 물, 액화가스
전선폭발
- 폭굉 Detonation
발열반응으로 연소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빨라진 현상
- 폭연 Deflagration
발열반응으로서 연소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느린 현상
- 폭굉유도거리 DID
최초의 완만한 연소가 격렬한 폭굉으로 발전할 때까지의 거리
- 폭굉유도거리가 짧아지는 원인
압력이 높을수록
관경이 작을수록
관속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점화원의 에너지가 강할수록
◈ 연기의 이동속도
이동방향 | 수평 | 수직 | 실내계단 |
이동속도(m/sec) | 0.5~1 | 2~3 | 3~5 |
◈ 유류저장탱크의 화재 발생현상
- 보일오버
탱크 바닥의 물이 비등하여 유류가 연소하면서 분출
유류 탱크의 화재 시 탱크 저부의 물이 뜨거운 열류층에 의하여 수증기로 변하면서 급작스런 부피팽창을 일으켜 유류가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현상
- 슬롭오버
물이 연소유 표면으로 들어갈 때 유류가 연소하면서 분출
소화 시 외부에서 방사하는 포에 의해 발생
연소유가 비산되어 탱크 외부까지 화재가 확산
- 프로스오버
탱크 바닥의 물이 비등하여 유류가 연소하지 않고 분출
- 블레비
액화가스 저장탱크 폭발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