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기는 방폭구조다
Ex : 방폭구조
◈ 그 다음은 방폭구조 종류
d : 내압방폭구조 (durable?로 외웠음)
방폭기기의 용기 내부에서 가연성가스의 폭발이 발생할 경우 용기가 폭발압력에 견디고 접합면, 개구부 등을 통하여 외부의 가연성 가스에 인화되지 않도록 한 구조
p : 압력방폭구조 (pressure)
o : 유입방폭구조 (oil)
ia 또는 ib : 본질안전방폭구조
정상시 및 사고시 발생하는 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부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가 점화되지 않은것이 점화시험이나 기타 방법으로 확인된 구조
e : 안전증방폭구조
s : 특수방폭구조
문제에는 주로 d랑 ib가 많이 나왔음
◈ 방폭전기기기의 폭발등급
최대안전틈새 범위 (mm) | 0.9mm 이상 | 0.5mm 초과 0.9mm 미만 | 0.5mm 이하 |
가연성가스의 폭발등급 | A | B | C |
방폭전기기기의 폭발등급 | ⅡA | ⅡB | ⅡC |
주로 폭발등급으로는 ⅡB가 나온다.
방폭전기기기의 폭발등급으로서 ⅡB는 최대안전틈새 범위가 0.5mm 초과 0.9mm 미만이다. 라고 하면 될듯
- 최대안전틈새란, 내용적 8L이고 틈새깊이가 25mm인 표준용기안에서 폭발할 때 생긴 화염이 용기 밖으로 전화하여 가연성가스가 점화하지 아니하는 최대값을 말한다. (21년 3회 출제됨)
본질안전방폭구조인 경우는 구분기준이 최대점화전류비의 범위이기 때문에 답이 달라진다. 방폭구조 종류가 어떤게 나왔는지에 따라 다름
최대점화전류비 범위 (mm) | 0.8mm 초과 | 0.45mm 이상 0.8mm 이하 | 0.45mm 미만 |
가연성가스의 폭발등급 | A | B | C |
방폭전기기기의 폭발등급 | ⅡA | ⅡB | ⅡC |
이때 최대점화전류비의 기준은 메탄가스의 최소점화전류로 함.
◈ 방폭전기기기의 온도등급
가연성가스의 발화도(ºC) 범위 | 방폭전기기기의 온도등급 |
450 초과 | T1 |
300 초과 450 이하 | T2 |
200 초과 135 이하 | T3 |
135 초과 200 이하 | T4 |
100 초과 135 이하 | T5 |
80 초과 135 이하 | T6 |
보통 T4랑 T6가 나왔다.
◈ 위험장소에 따른 백열등의 안전구조
구분 | 1종장소 | 2종장소 | ||
내압 | 내압 | 안전증 | ||
백열전등 | 정착등 | O | O | O |
이동등 | O | O | ||
형광등 | △ | O | ||
고압수은등 | O | O | O | |
전지내장제 전등 | O | O | ||
표시등류 | O | O | O |
(문제상 내압은 무조건에 전등종류별로 안전증 들어가는지 확인하면 될듯)
728x90
'자격증 > 가스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기사] 가스계량기 및 다기능가스안전계량기 관련 (0) | 2021.10.21 |
---|---|
[가스기사] 가스용 PE관 이것저것 (0) | 2021.10.21 |
[가스기사] 가스 충전용기 (0) | 2021.10.21 |
21년 3회 가스기사 실기 동영상 복습(?) (0) | 2021.10.19 |
21년 3회 가스기사 실기 필답형 복습(?) (0) | 202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