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압재취득법은 급기덕트에서 취출구 직전의 정압이 일정하도록 덕트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구하는 과정이 복잡해서 잘 쓰이지는 않는다고 하며 기사시험에서도 20년간 2, 3번쯤 나온것같다.

 

덕트와 덕트사이의 구간의 정압 손실만큼 동압을 감소시켜 정압을 재취득하므로써 정압을 일정하게 한다.

(정압, 동압, 정수압의 합은 일정하다는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동압이 감소하면 정압이 상승한다.)

 

정압재취득법에는 아래의 2개 선도가 주어진다.

왼쪽의 선도는 주어진 풍량과 덕트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K값을 구하는 선도이다.(K값을 정확히 뭐라고 해야하는지는 모르겠다.)

오른쪽은 왼쪽 선도에서 구한 K값을 이용하여 다음 취출구에서의 풍속, 즉 정압손실만큼 감소된 속도를 구하는 선도이다.

 

2001년 11월 시험 6번문제로 출제되었다.

 

송풍기 출구 속도는 10m/s로 주어졌다.

 

①에서 풍량은 총 30000m3/h이며 풍속은 송풍기 출구속도와 같은 10m/s로 본다.

②에서 풍량은 25000m3/h이며 토출구와의 거리가 5m이므로 선도상에서 K값을 읽으면 약 0.01이다.

V1은 직전 취출구에서의 속도이므로 10m/s, K값은 0.01이므로 두 선이 교차하는 점의 속도 V2, 즉 ②에서의 풍속을 읽으면 약 9.5m/s가 된다.

 

 

③에서의 풍량은 20000m3/h이며 ②와의 거리는 5m이다. 선도에서 읽은 K값은 약 0.012이다.

여기서 V1은 ②에서의 속도이기 때문에 9.5m/s가 되며, K값 0.012와 만나는 점에서 V2, 즉 ③에서의 속도는 8.9m/s이다.

선도를 정확히 읽는것은 거의 불가능해보인다. 아마 채점과정에서도 어느정도의 오차는 봐주지 않을까싶다.

 

이와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아래와 같다.

취출구 위치 풍량 K값 풍속
30000 - 10
25000 0.01 9.5
20000 0.012 8.9
15000 0.014 8.3
10000 0.018 7.6
5000 0.027 6.8

 

이후로 12년 10월 시험에 7번문제로 똑같은 문제가 출제되었으며 다른 시험에서 출제된 적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선도를 눈대중으로 읽어야하고 두 선도를 왔다갔다 해야되는 문제라 시험지 앞뒤로 넘기면서 보는게 귀찮긴하겠지만 원리만 알면 어려운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여튼 안나오길 바란다ㅋㅋㅋㅋ

728x90

+ Recent posts